블로그 모음

자동차세, 어떻게 계산할까?



자동차세는 매년 1·3·6·9월 네 차례 고지되지만, 계산식만 이해하면 예상 세액을 쉽게 예측할 수 있어요. 엔진 배기량, 차량 가액, 사용 일수 등 변수만 알면 끝!

 

이번 글은 구조 파악 → 세율 확인 → 공제·감면 → 연납 전략 → 친환경차 특례 → 납부 절차 순서예요. 내가 생각했을 때 이 흐름으로 따라가면 세금 걱정이 확 줄어들 거예요.

 

🔍 세금 구조 이해

자동차세는 본세(지방세)와 교육세(추가 30%)로 구성돼요. 본세는 배기량×세율×사용일수/365 공식으로 계산하고, 교육세는 본세의 30%를 추가해요.

 

예) 1,598cc 승용차를 1년 보유 시 1,598×140원=223,720원이 본세, 교육세 67,116원을 더해 290,836원이 1년 세액이에요.

 

차령 3년 차부터는 세율이 5%씩 경감돼 최대 50%까지 줄어드는 ‘노후경감’이 있어서 연식이 오래될수록 부담이 줄어요.

 

🔍 과세 항목 요약

항목계산 방식비고
본세배기량×세율지방세
교육세본세×30%추가 부과
노후경감최대 −50%차령 12년+

 

📊 세율 보러가기

📊 배기량·가액별 세율

승용차는 배기량 단위로, 승합·화물차는 차량 가액 또는 정원·톤수로 세율이 달라요.
대표 승용 기준 세율은 1,000cc 이하 80원, 1,600cc 이하 140원, 1,600cc 초과 200원이죠.

 

배기량 2,000cc SUV 예시:
2,000×200원 = 400,000원(본세) + 교육세 120,000원 = 520,000원.

 

화물 1톤 트럭은 정액 28,500원이에요. 승용보다 훨씬 낮은 이유는 산업활동 지원 목적이죠.

 

📊 세율 표

구분기준세율
승용 1,000cc↓배기량80원/cc
승용 1,600cc↓배기량140원/cc
승용 1,600cc↑배기량200원/cc
승합 15인승↓정원45,000원
화물 1톤톤수28,500원

 

💸 감면 혜택 🏠 처음으로

💸 공제·감면 혜택

장애인·국가유공자는 2,000cc 이하 1대에 한해 본세 전액 면제예요. 다자녀(3명 이상) 가구는 50만 원 한도 내 1회 감면을 받을 수 있어요.

 

업무용 승용차(리스 포함)는 비용인정 한도액을 세무 상 공제해 실질 세부담을 낮출 수 있어요.

 

노후경감: 차령 3년 경과 시 5%↓, 이후 1년마다 추가 5%↓로 12년 차에 50% 감면이 돼요.

 

💸 감면 요약표

대상감면율조건
장애·유공100%2,000cc↓ 1대
다자녀50만 한도3자녀↑
노후경감최대 50%12년↑

 

⏰ 연납 전략

⏰ 연납·할부 전략

매년 1월 연납 신청을 하면 7% 할인, 3월 5%, 6월 3%, 9월 1% 할인을 받아요. 200만 원 세액이면 1월 연납 시 14만 원 절약!

 

자동차세를 12개월 무이자 카드 할부로 나누면 월세처럼 분산 효과가 있어요(카드사 이벤트 기간 확인 필수).

 

연납 후 차량을 팔면 남은 기간 세액은 일할 계산돼 환급받아요. 차량 이전 등록 전 꼭 ‘연납 승인증’을 중고차 업체에 제출해요.

 

⏰ 연납 할인표

신청 월할인율
1월7%
3월5%
6월3%
9월1%

 

🌱 친환경차 혜택 🏠 처음으로

🌱 전기·하이브리드 특례

전기차는 2025년까지 본세 10만 원 정액, 교육세 면제로 사실상 9만 원대만 납부해요. 하이브리드는 본세 50%(최대 10만) 감면이 적용돼요.

 

친환경차 감면은 최초 등록일 기준 3년간 자동 적용돼 추가 서류가 없어요.

 

지자체에 따라 별도 지방교육세 감면 조례가 있는 곳도 있으니, 전기차 구입 전 거주지 혜택을 확인해요.

 

🌱 친환경 감면표

차종본세교육세
전기10만 정액면제
하이브리드50% 감면30% 부과

 

📝 납부 절차

📝 신고·납부 절차

고지서는 지방세입계좌(전자납부번호)로 이체하거나, 위택스·지로·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로 QR 납부가 가능해요.

 

자동차세는 구입 즉시 등록세와 함께 선납되지 않고 매년 과세되니, 신차 출고 후 첫 고지서를 잊기 쉬워요. 이메일·카카오 알림톡 신청으로 미납 가산세를 예방해요.

 

납부 지연 시 1일 0.75/10,000 가산금이 붙어 30일 초과 땐 3% 가산금+중가산금 1.2%가 추가돼요.

 

📝 납부 채널

채널수수료비고
위택스0원카드·계좌 가능
지방세입계좌0원인터넷뱅킹
모바일페이0원QR 납부

 

❓ FAQ 이동 🏠 처음으로

❓ FAQ

Q1. 중고차를 연중 구매했는데 세금은?

 

A1. 취득 다음 달부터 소유 일수만큼 일할 계산돼요.

 

Q2. 폐차하면 남은 세금은?

 

A2. 말소 등록일 기준 잔여 기간 세액이 환급돼요.

 

Q3. 이사하면 자동차세 납부지는 바뀌나요?

 

A3. 이전 등록과 동시에 새로운 지자체로 귀속돼요.

 

Q4. 연납 후 주소 이전하면 할인 유지?

 

A4. 유지돼요. 납부 사실이 이관됩니다.

 

Q5. 리스 차량도 노후경감 되나요?

 

A5. 차령 기준이 동일해 3년 차부터 경감돼요.

 

Q6. 경차(1,000cc 이하)도 연납 할인 돼요?

 

A6. 네, 기본 세액이 낮아도 동일 비율 할인돼요.

 

Q7. 교육세 면제 대상이 있나요?

 

A7. 전기차·장애인 면제 시 교육세도 함께 면제돼요.

 

Q8. 세금계산 앱 추천?

 

A8. ‘위택스 계산기’·‘모두의 차세’가 편해요.

 

📄 면책: 본 글은 2025년 7월 기준 정보를 바탕으로 하며, 세율·감면 규정은 지자체 조례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삼성화재 다이렉트, 어떻게 최저가로 가입할까?

삼성화재 다이렉트 계산기, 믿어도 될까?

자동차 보험 비교는 어디서 하나요?